'직업'은 당신이 부자가 되는 것을 방해한다
D-303
1.놀기: 동세 30초 21~30번
유튜브에 예시를 보며 그대로 따라 그려보는 게 좀 도움이 되긴 한다. 이미 본 거고 이미 따라 그려본 건데도 계속 그리면 또 다르다. 형태가 아니라 동세를 그린다는 게 설명으로만 듣는 거랑 직접 그리면서 아 이게 동세구나 하는 게 또 다르다. 그래도 아직까지 형태를 그리는 데서 벗어나는 게 쉽지 않다. 그래서 움직임의 흐름 자체를 자연스럽고 과감하게 그리기보다는 정적이고 사진에 보이는 그대로 선을 긋고 나서 아차 하게 된다. 어중띈 움직임이라 무슨 포즈를 하는 건지 앞인지 뒤인지 알기도 어렵다.










2.수입원 늘리기
<부의 추월차선> 평범의 길을 걷는 사람들2: 직업을 버려라.
-직업을 버리래. ????? 평범의 길의 핵심은 직업이다. 내가 지금 하고 있는 3-2 레벨의 주 목표도 수입원이 될 직업을 찾아나가는 거고. 그걸 버리래. 이 책의 저자는 직업=시간을 쓰는 것=인생을 쓰는 것으로 본다. 미용사 연봉이 2만 2천 달러라고 한다. 나랑 비슷하네. 이 사람이 100만 달러, 약 10억 넘는 돈을 버는데 걸리는 시간이 47년. 모으는 시간이 아니라 버는 시간. 미쳤네. 노가다가 별 게 아니다. 이게 노가다가 아니면 뭐야. 전문직도 마찬가지다. 빚 좋은 개살구네. 약사도 이런 식으로 계산하면 버는데는 11년이지만 10프로 저축으로는 모으는 데엔 105년이 걸린다 ㅋㅋ 평범의 길을 걷는 사람들은 이렇게 노가다를 하는 거다. 그렇지 않고서도 돈을 벌기 위해서는 이 길 밖을 나가야 한다.
직업은 제한적 한정적인 영향력과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. 내가 할 수 있는 일로만 먹고 산다고. 직업이 아닌 경험으로 돈을 벌 수 있다고. 특정 기술이 필요하지도 않고. 그래서 할 수 있는 일이 한정적이지도 않다고. 영향력이 한정적이란 것이다. 그리고 통제력에 관한 건, 수입이 내 뜻대로 장담할 수 없다는 거다. 직장도. 회사가 내 뜻대로 돌아가는 게 아니니까. 시장도 마찬가지고. 이건 좀 이해가 잘 안된다. 돈은 시장에서 가져오는 거 아닌가. 외부에 영향을 안 받을 수가 있나?
남들이 내 돈을 가져가는 것도 얘기한다. 정부에서 가져가는 세금이라던지, 회사에서 내가 버는 수익을 그대로 내가 먹을 수 있는 게 아니니까. 그럼 '빨리' 부자가 될 수 없다고. 또 돈을 벌기 위해서 회사에다 하는 기타 희생들, 원치 않는 사람들과 일하거나.
결론은 내 수익은 내가 일한 만큼 보장 받을 수 있어야 '빨리' 부자가 될 수 있다.